2011년 사업 진출 이래, 2023년 역대 최대 20만8000톤 팜 원유 생산
팜유 정제사업 공동 진출 등 밸류체인 확장…환경 기준에 맞춰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팜사업에서 지난해 매출 1억6천360만 달러(약 2천138억 원), 영업이익 5천256만 달러(약 686억 원)의 성과를 거두며 회사의 주요 수익원 역할을 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포스코인터내셔널 인도네시아 팜 농장 전경. [사진제공 =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팜사업에서 지난해 매출 1억6천360만 달러(약 2천138억 원), 영업이익 5천256만 달러(약 686억 원)의 성과를 거두며 회사의 주요 수익원 역할을 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포스코인터내셔널 인도네시아 팜 농장 전경. [사진제공 =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팜사업에서 지난해 매출 1억6천360만 달러(약 2천138억 원), 영업이익 5천256만 달러(약 686억 원)의 성과를 거두며 회사의 주요 수익원 역할을 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11년 인도네시아 파푸아에서 농장개발을 시작한 이래 2016년 상업생산을 시작했으며, 2023년에는 역대 최대 생산량인 20만8천 톤을 달성했다.

팜사업을 위해 현지에 설립된 PT.BIA법인은 2018년 흑자 전환했으며, 2019년에는 매출 4천482만 달러, 영업이익 635만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2022년에는 유가 상승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불안 등으로 판매가격이 상승해 한 해 동안 매출 2천196억 원, 영업이익 1천22억 원의 기록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지난해까지 팜사업 연평균 이익률은 33%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영업이익률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팜농장 조성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금까지 투자한 금액은 약 2억5천만 달러로, 그동안 확보한 영업이익 약 2억3천만 달러를 감안할 시 팜유 본격 생산 후 6년만에 투자비용을 대부분 회수하는 성과를 거뒀다.

팜사업을 운영 중인 파푸아는 팜나무 생장에 최적인 기후조건과 토양을 가지고 있다. 팜 농장 또한 효율적인 운송을 위한 도로와 자체 항만 등의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나아가 과학영농에 기반한 체계화된 생육 및 생산관리를 통해 헥타르당 원유 생산량을 지속 늘려나가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수익성을 기반으로 팜 사업의 고도화를 위한 밸류체인 확장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지난해 10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GS칼텍스와 체결한 팜유 정제사업이다.

양사는 인도네시아 칼리만탄티무르에 2억1천만 달러를 투자해 팜유 정제공장을 건설키로 했으며, 2025년부터 연간 50만 톤의 정제유를 생산할 예정이다. 양사는 정제사업을 넘어 바이오항공유 같은 친환경 바이오연료 생산 사업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최근 들어 지속 가능한 팜유 생산 국제기준이 적립되고, 그에 따르는 기업이 점점 늘어나면서 팜사업의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도 불식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팜유는 대두유보다 10배, 해바라기유 대비 7배 등 식물성 기름 중 단위 면적당 생산성이 가장 높다. 또한 한번 식재하면 20년 이상 수확이 가능한 다년작 나무로, 상대적으로 적은 땅과 물을 사용하기에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강점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수익성 측면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환경기준을 엄격히 준수하고 현지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팜 사업 운영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2020년 국내 기업 최초로 환경과 현지 주민의 권리·인권을 보호하며 팜유를 생산하겠다는 팜사업 환경사회정책인 NDPE(No Deforestation, No Peat, No Exploitation)을 선언했다. 2021년에는 국제 지속가능 팜오일 인증인 RSPO(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Oil) 인증을 획득했으며, 2022년 국제 안전보건 인증인 ISO 45001을 취득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