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회장•㈔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연구위원•국립한국교통대학교 연구교수•한국환경한림원 원로회원•(전)한국환경학술단체연합회장•(전)한국물환경학회장(현 고문)•(전)한국분석학회장(현 명예회장)•(전)국립환경과학원장(현 자문위원)•(전)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전)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
•본지 회장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연구위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연구교수
•한국환경한림원 원로회원
•(전)한국환경학술단체연합회장
•(전)한국물환경학회장(현 고문)
•(전)한국분석학회장(현 명예회장)
•(전)국립환경과학원장(현 자문위원)
•(전)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
•(전)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

1990년대 국내 상하수도 시설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된 후, 국내 상수도 보급률은 2021년 기준 99.4%, 하수도 보급률은 94.8%로 양적 확충을 거의 완비했으며, 질적관리를 위한 고도처리 적용 비율 또한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시설이 설치된 지 30년이 지나 관련 시설이 빠르게 노후화되고 있다.

최근 광주 정수장에서는 노후화로 인한 장비 고장으로 단수 사태가 발생했다. 고장이 난 송수관 밸브는 30년 된 노후 장비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경과연수가 25년 이상된 처리시설이 50%에 달할 정도로 상수도의 노후화는 상당히 진행된 상황이다. 노후관은 잔류염소 저하, 녹물 및 침전물 발생 등으로 관로 수질과 유수율을 떨어뜨리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교체 및 현대화가 시급하다.

우리나라 하수도 시설은 1992년부터 20여 년간 단기간에 걸쳐 건설돼 상수도 시설에 비해 노후화 비율이 다소 낮다. 하지만 내구연한에 도래하는 하수도 시설도 한꺼번에 집중될 전망이다. 20년 내구연한이 초과된 시설 비중이 2026년에는 48.2%, 2036년에는 77.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하수도 도입 초기에 설치된 하수처리시설은 이미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다. 하수처리시설 건설 당시 도시 외곽에 설치됐으나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현재 처리장 인근까지 도심이 형성돼 있다. 하수처리장은 악취를 유발하는 혐오·기피시설로 인식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를 낙후시키고 도시재생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인식돼 이를 이전하거나 지하화를 추진하라는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상하수도 시설의 개·보수를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재정에 부담이 큰 상황이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해 예산을 절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상하수도 시설의 교체 및 개선에 앞서 전국 노후 상하수관로의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유지 ·관리하는 정비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아울러, 상하수관로 정보에 대한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상하수관로 진단·정비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상하수도 시설 및 관망 관리 지능화에 대한 관련 정책 추진은 미흡한 실정이다.

앞으로 시설 노후도 및 에너지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ICT(정보통신기술) 기반의 하수도 관리 지능화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등 운영 효율화를 위해 노력하고, 빅데이터 및 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해 하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힘써야 할 시기다. 늦기 전에 노후한 상하수도 시설을 파악해 이를 연차적으로 개선하기를 바란다.

[『워터저널』 2023년 11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