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연구보고서] EDB, "중앙아시아에 물·에너지 분야 투자 필요"

중앙아시아 국가들 물·에너지 분야 협력부족…기술적·경제적 손실 커

EDB(유라시아개발은행), '중앙아시아 물·에너지 복합단지 투자 보고서(Investment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of Central Asia.)' 발간


중앙아시아 물 및 에너지 복합단지의 에너지 부문에서 확인된 투자 제안은 여전히 그 정책을 따르고 있다. 물 부문에서 중앙아시아의 발전은 수자원 고갈과 제한된 투자의 맥락에서 일어나고 있다. 물과 에너지 단지의 공공 이니셔티브를 위한 가장 중요한 재원은 다자간 금융 기관으로 현재 102억 달러 규모의 104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의 물과 에너지 복합단지의 투자 종목 구조는 물과 에너지 단지의 조화되지 않은 개발로 인해 최적이 아니다. 중앙아시아의 물과 에너지 단지에서 협력을 촉진하면 지역의 물과 에너지 균형을 개선하고 투자 금액과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다.

The Eurasian Development Bank’s analysts have conducted a detailed study of investments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of Central Asia. For three decades, regional cooperation has been weakening as the countries pursued energy self-sufficiency policies. At the same time, the aggregate energy capacity of the Central Asian countries increased from 42.2 GW in 1992 to 53.8 GW in 2020.

The investment proposals identified in the energy segment of the Central Asian water and energy complex still follow that policy. In the water segment, developments in Central Asia are taking place in the context of depleting water resources and limited investment.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finance for public initiatives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are multilateral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are currently implementing 104 projects worth US $10.2 billion.

The structure of the investment portfolio in the Central Asian water and energy complex is suboptimal because of uncoordinated development of water and energy complex. Promoting cooperation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of Central Asia would improve the region’s water and energy balance and optimise the amount and structure of investments.

유라시아개발은행(EDB ; Eurasian Development Bank)은 '중앙아시아의 물과 에너지 단지에 대한 투자(Investment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of Central Asia.)'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중앙아시아 5개국(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한 지 30년이 된 중앙아시아의 물 및 에너지 복합단지를 분석하고 물·에너지 복합단지에서의 협력을 평가했다.

분석가들은 또한 물 및 에너지 문제 해결에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과제를 파악하고, 주요 참가국들의 투자 전략 및 정부 프로그램 분석 등 중앙아시아의 물 및 에너지 단지에 대한 현재 진행 중인 투자 프로젝트와 향후 투자 프로젝트에 대한 심층 연구를 실시했다. 이보고서는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2030년까지 에너지 및 수도 기반시설에 대한 자본 투자의 필요성을 예비적으로 추정한다.

The Eurasian Development Bank (EDB) has published a report titled Investment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of Central Asia. The report analyses Central Asia’s water and energy complex after 30 years of independence of th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Kazakhstan, Kyrgyzstan, Tajikistan, Turkmenistan, and Uzbekistan) and assesses their cooperation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The analysts have also identified the key challenges facing the Central Asian countries in addressing water and energy issues and conducted an in-depth study of the ongoing and prospective investment projects in Central Asia’s water and energy complex, including an analysis of the key players’ investment strategies and government programmes.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port preliminarily estimates the need for capital investment in the energy and water infrastructure until 2030.

이 보고서는 물 및 에너지 단지에 대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협력이 부족하고 결과적으로 기술적·경제적 해결책의 구현이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연간 경제적 피해와 미실현 경제적 이익은 45억 달러로 지역 GDP(국내총생산)의 1.5%에 달하며, 농업과 에너지 부문에서의 손실은 각각 중앙아시아 GDP의 0.6%, 0.9%로 추산했다.

·EDB(유라시아개발은행)는 수도 및 에너지 단지의 비효율성을 해소하는 것이 5년 동안 이 지역의 GDP에 7%(220억 달러)를 추가할 수 있다고 잠정 추정합니다. 이 지역의 경제는 5년 안에 1.5% 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장기적 관점(2050년까지)에서 세계은행(World Bank)의 추산에 따르면, 일반적인 비즈니스 시나리오의 비용과 중앙아시아의 물 및 에너지 복합단지의 강력한 협력을 예상하는 시나리오의 이익간의 차이는 GDP의 20%에 이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The report argues that the lack of cooperation among the Central Asian countries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and, consequently, the implementing technical and economic solutions result in significant economic losses.

·According to the reported data, annual economic damage and unrealised economic benefits are estimated at as high as US $4.5 billion, which is 1.5% of the regional GDP. Losses in agriculture and the energy sector are estimated at 0.6% and 0.9% of Central Asia’s GDP, respectively.

·The EDB preliminarily estimates that remedying inefficiencies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might add 7% (US $22 billion) to the region’s GDP over a five-year horizon. The region’s economies will grow by an additional 1.5 p.p. in five years (compared with the business-as-usual scenario).

·In the longer term perspective (up to 2050), according to the World Bank estim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sts of the business-as-usual scenario and the benefits of the scenario envisaging stronger cooperation in Central Asia’s water and energy complex might reach 20% of GDP.

2000년대 중앙아시아의 물 및 에너지 단지의 협력이 급격히 약화되면서 에너지 부문의 부담이 크게 증가했다. 순 전력 소비는 1999년 소련 이후 최저치인 108.1TWh(테라와트시)에서 2020년 184.9TWh로 71.1% 급증했다. 이러한 현상은 높은 인구 증가뿐만 아니라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에서 가속화된 성장이라는 맥락에서 발생했다.

상호 평균 연간 전력 흐름이 크게 감소하면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적극적으로 새로운 발전 용량을 구축하고 기존 발전 용량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이는 증가하는 국내 세대를 통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게 했다. 사실, 지난 20년 동안 이 나라들의 에너지 시스템은 자급자족하게 되었다.

[그림 1] 중앙아시아에 설치된 용량  (단위 : MW)

▲ ※출처 : EIA(미국 에너지정보청) 데이터 및 피치 솔루션(Fitch Solution) 추정치.
The drastic weakening of cooperation in Central Asia’s water and energy complex in the 2000s coincided with a significant growth of the load on the energy sector. Net electricity consumption soared by 71.1% from a post-Soviet low of 108.1 TWh in 1999 to 184.9 TWh in 2020. This occurred in the context of accelerated growth in the energy-intensive industries as well as high population growth.

With a significant decline in mutual average annual power flows, the Central Asian countries have been actively building new and upgrading existing generating capacities. This has made it possible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with in-country generation. In fact, the countries’ energy systems have become self-sufficient over the past two decades.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부문은 이 지역에서 시행되는 정부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개발되었다. 용수 및 에너지 투자사업의 소유구조와 구체적인 성격을 감안할 때 정부가 물 및 에너지 단지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와 국영기업은 개성공단에 대한 개발 개념 수립 및 구현, 관세 정책 수립, 재정 출처 검색, 프로젝트 구현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020년 용수 및 에너지 투자의 선두 주자는 카자흐스탄(GDP의 1.6%)과 우즈베키스탄(GDP의 2.4%)이었다.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수도 및 에너지 단지에 대한 자본 투자는 각각 5억7천700만 달러(GDP의 6.3%)와 8천900만 달러(GDP의 1.2%)에 달했다. 타지키스탄의 예산 제약으로 인해 정부는 외부 차입금으로 적극적인 공공 투자 정책을 펴지 못하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의 용수 및 에너지 투자 수준이 낮은 것은 정부 수입의 제한과 더불어 발전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낮은 관세 때문이었다.

The energy sector in Central Asia developed in the context of government programmes implemented in the region. Given the ownership structure and specific nature of water and energy investment projects, the governments play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The governments and state-owned companies are actively involved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development concepts for the complex; setting tariff policies; searching for sources of finance; and implementing projects, among other activities.

In 2020, the leaders in water and energy investments were Kazakhstan (US $2.783 billion, or 1.6% of GDP) and Uzbekistan (US $1.377 billion, or 2.4% of GDP). In Tajikistan and Kyrgyzstan, capital investments in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amounted to US $507 million (6.3% of GDP) and US $89 million (1.2% of GDP), respectively. Budgetary constraints in Tajikistan have not precluded the government from implementing an active public investment policy with external borrowings. The low levels of water and energy investments in Kyrgyzstan were due to limited government revenues as well as low tariffs that do not cover the cost of electricity generation.

대부분의 중앙아시아 국가에서 물과 에너지 복합단지가 민간 및 외국인 투자자들에게는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기 때문에 공공사업(public initiatives)을 위한 중요한 재원은 다자개발은행(MDB ;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이다. 현재까지 104개의 102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주요 금융사는 중앙아시아 전체 MDB 금융의 32.7%에 해당하는 33억 달러의 자금을 보유한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이다. 이어 세계은행(World Bank)이 30억 달러(29.6%)로, 아시아개발은행(ADB ; Asian Development Bank)가 26억 달러(26.2%)로 뒤를 이었다.

유라시아개발은행(EDB ; Eurasian Development Bank)와 유라시아안정화개발기금(EFSD ; Eurasian  stabilization  Fund), 유럽투자은행(EIB ; ropean Investment Bank),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 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는 모두 12억 달러(11.5%)를 차지한다. ‘코로나19(COVID-19)’대유행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MDB(다자개발은행)는 중앙아시아의 물 및 에너지 복합단지에 지속적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2020년에는 24개 물 및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해 18억 달러 규모의 자금 지원을 승인했다.

[그림 2] 중앙아시아 물 및 에너지 투자 프로젝트 자금조달에 대한 MDB의 참여

▲ ※출처 : 2021년 4월 1일 현재 MDB의 공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자의 계산.

As in most Central Asian countries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is insufficiently attractive for private and foreign investors, an important source of finance for public initiatives are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MDBs). So far, 104 projects worth US $10.2 billion are in progress. The leading financier is the EBRD with a portfolio of US $3.3 billion, or 32.7% of total MDB financing in Central Asia. It is followed by the World Bank with US $3.0 billion (29.6%) and the ADB with US $2.6 billion (26.2%).

The EDB and EFSD, the EIB, and the AIIB together account for US $1.2 billion (11.5%). Despite struggling with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MDBs continued to finance Central Asia’s water and energy complex. In 2020, they approved financing for 24 water and energy projects to the tune of US $1.8 billion.

장기적으로 EDB 분석가들은 중앙아시아의 GDP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상당한 인구 증가(UN 예측에 따르면 중앙아시아 인구의 중위 성장률이 현재 7천440만 명에서 2050년에는 9천만 명으로 증가 예상)와 제조업, 서비스업, 농업의 발전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미 마모율이 높은 기존 발전시설과 그리드(grids)에 부하가 추가되는 등 전력 소비가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지역의 지리적 고립과 경계 강·하천 유역의 폐쇄성, 기후변화 증가 등을 감안할 때, 더 많은 물 소비가 주간(inter-state) 물 사용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되고 있으며, 따라서 국가간 관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앙아시아의 물 및 에너지 단지의 에너지 부문에서 확인된 총 투자 제안은 현재 528억 달러로 추산된다. 이 중 발전은 454억 달러(86.0%), 그리드는 74억 달러(14.0%)를 차지한다. 주요 사업 목표는 에너지원 다변화와 기존 발전설비 확충을 통한 전력 공급 확보, 신규 전력시장 진출, 국내 전력 연계 강화 등이다.

[그림 3] 중앙아시아 에너지 부문에서 확인된 투자 제안의 가치 및 구조
 (단위 : 미화 백만 달러, 2021년 4월 1일 기준)

▲ ※출처 : 이용 가능한 공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자의 계산.
In the longer term, EDB analysts expect GDP growth to remain relatively high in Central Asia. This will b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population growth (based on the UN forecast, the median growth of the Central Asia’s population will increase from the current 74.4 million to 90.0 million in 2050) and with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services, and agriculture.

As a result, the region is expected to boost electricity consumption, adding loads on the existing generation facilities and grids with already high rates of wear and tear. On the other hand, given the region’s geographical isolation and the respective closedness of its transboundary river basins, as well as growing climate change, greater water consumption is becoming the main factor determining inter-state water uses and, therefore, inter-state relations in the region.

The identified total investment proposals in the energy segment of Central Asia’s water and energy complex are currently estimated at US $52.8 billion. Of these, generation accounts for US $45.4 billion (86.0%) and grids US $7.4 billion (14.0%). The key project objectives are to secure power supplies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energy sources and the expansion of conventional generation facilities, access new electricity markets, and strengthen in-country electricity connections.

향후 10년 동안 계획된 투자 프로젝트는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전력 부족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지역의 잉여 전력 생산량은 2020년 37.2TWh에서 2030년 45.6TWh로 증가하여 더 많은 전력을 수출할 수 있게 되고 잉여 물량을 어디에 판매할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든 중앙아시아 국가에서 확인된 투자 프로젝트는 대부분 국가 경제의 요구를 충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지역 이익을 반드시 고려하지는 않는다. 이는 물 및 에너지 단지의 조정되지 않은 개발의 결과이다. 중앙아시아의 물과 에너지 복합단지에서 협력을 촉진하면 지역의 물과 에너지 균형을 개선하고 투자 금액과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보고서는 아랄해 유역에 있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특징은 사회경제적 발전이 수자원 고갈이라는 맥락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며 이러한 추세가 지역 국가들 간의 관계를 결정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물 가용성 측면에서 국제 분류에 따르면 물 부족 국가 범주에 속한다(1천700개 기준으로 연간 1천405㎥). EDB 분석가들은 중앙 아시아에 대한 현재의 온건한 시나리오를 따르면 이러한 추세가 장기적으로 계속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The investment projects planned for the next decade are expected to help avoid power shortages in the region despite increased consumption. The region’s surplus electricity production will go up from 37.2 TWh in 2020 to 45.6 TWh in 2030, which will make it possible to export more electricity and will raise the question of where to market the surplus supplies.

In all the Central Asian countries, the identified investment projects are mostly aimed at meeting the needs of the national economy and do not necessarily factor in regional interests, which is a consequence of the uncoordinated development of the water and energy complex. Promoting cooperation in Central Asia’s water and energy complex would improve the region’s water and energy balance and optimise the amount and structure of investments.

The report notes that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Central Asian countries in the Aral Sea basin is that their socio-economic development is taking place in the context of depleting water resources, and this trend will determine relations among the region’s countries. In terms of water availability, they are in the category of water-stress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1,405 cubic meter per person per year with a threshold of 1,700). EDB analysts argue that following the current moderate scenario for Central Asia this trend will continue in the longer term.

[그림 4] 아랄해 유역의 수자원 및 토지 자원 이용 현황

▲ ※참고 : 예상 총 취수량은 하·폐수 및 배수의 재사용, 해당 지역 국가의 미래 도시화 추세 및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계산됨.※출처 : 수자원 조정을 위한 주간위원회 과학정보센터(Scientific Information Centre of the Interstate Commission for Water Coordination ;SIC ICWC).

EDB의 분석가들은 중앙아시아의 지속가능한 사회경제적 개발 목표 달성이 수자원 상태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EDB와 EFSD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에브게니 비노쿠로프(Evgeny Vinokurov)는 “중앙아시아의 물 및 에너지 복합단지의 에너지 부문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도전 과제는 무수히 많으며 이 지역의 각 국가는 이에 대응할 자체 솔루션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에브게니 비노쿠로프는 그러나 “중앙 아시아의 물 및 에너지 복합 단지의 주요 과제는 증가하는 수자원 부족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중앙아시아의 물 사용은 인구 통계학적 요인과 제조업 및 농업의 발전, 주로 관개 증가에 힘입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라고 진단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접경지역 하천유역의 국가간 물 배분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는 것은 사회·경제적, 환경적 변화와 지역 접경 국가의 정치적 상황을 모두 고려한 정치적 의지와 포괄적인 해결이 필요한 핵심과제이다. 경계수자원의 공동이용에 대한 입장을 수렴하는 목적은 지역 전체의 경제개발모델과 경제협력 이외에는 볼 수 없다. 지역 국가 간 무역과 경제 유대를 강화하고 물 정책이 경제 통합의 유효한 요소인 긴밀한 협력은 공유 경계 수자원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Bank’s analysts conclude that the achievement of Central Asia’s sustainable socio-economic development goals will be largely dependent on the state of water resources. “The challenges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energy segment of Central Asia’s water and energy complex are numerous, and each country in the region is looking for its own solution to counter them,” said Evgeny Vinokurov, EDB and EFSD Chief Economist.

“However, the key challenges in Central Asia’s water and energy complex will be associated with the growing scarcity of water resources. Water use in Central Asia is growing rapidly, driven both by demographic factors and by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and agriculture, primarily increased irrigation.”

In this context, reaching a consensus on inter-state water allocations in transboundary river basins is a key task that requires political will and a comprehensive solution, considering both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countries bordering the region. The objective to converge positions on the shared use of transboundary water resources cannot be seen outside each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model and economic cooperation in the region as a whole. Strengthening trade and economic ties among the region’s countries and their close cooperation, in which water policy is a valid factor of economic integration,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of shared transboundary water resources.

■ 유라시아은행(EDB) 소개
유라시아개발은행(Eurasian Development Bank ; EDB)은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공화국, 러시아, 타지키스탄 등 회원국에 통합과 개발을 추진하는 국제 금융기관이다. EDB의 전세 자본은 총 70억 달러이다. 이 은행은 2006년 1월에 설립되었으며 카자흐스탄 알마티(Almaty)에 본부를 두고 있다. EDB의 포트폴리오는 주로 운송 인프라, 디지털화, 녹색 에너지, 농업, 산업 및 기계 공학 분야에서 통합 효과가 있는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다.

The Eurasian Development Bank (EDB) is an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 promoting integration and development in its member countries - Armenia, Belarus, Kazakhstan, the Kyrgyz Republic, Russia, and Tajikistan. The EDB's charter capital totals US $7 billion. The Bank was established in January 2006 and is headquartered in Almaty. The EDB’s portfolio mainly consists of projects with an integration effect in the areas of transport infrastructure, digitalisation, green energy, agriculture, industry, and mechanical engineering.

■ 유라시아 안정개발기금(EFSD) 소개
자산 규모가 총 85억 1천300만 달러에 달하는 유라시아 안정화 개발기금(Eurasian Fund for Stabilization and Development ; EFSD)은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공화국, 러시아, 타지키스탄 등 6개국 정부에 의해 2009년 6월 9일 같은 설립되었다. EFSD는 회원국들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결과를 극복하고, 경제적, 재정적 안정성을 보장하며, 해당 지역의 통합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준다. EFSD 회원국들은 EFSD 자원관리자의 역할을 부여하여 유라시아 개발은행과 기금관리협정(Fund Management Agreement)을 체결했다.

The Eurasian Fund for Stabilization and Development(EFSD) amounting to US$8.513 billion was formed on 9 June 2009 by the governments of the same six countries. The EFSD assists its member states in overcoming the consequence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ensuring their economic and financial stability, and fostering integration in the region. The EFSD member countries signed the Fund Management Agreement with Eurasian Development Bank giving it the role of the EFSD Resources Manager.

[출처 = 유라시아은행(https://eabr.org/en/press/news/the-edb-publishes-a-report-titled-investment-in-the-water-and-energy-complex-of-central-asia/) 2021년 7월 28일 보도자료]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