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6주년 특집  Ⅱ. 2020년 제6회 세계물도시포럼


“새로운 하·폐수처리장에 아나목스 공정이 적합”

     
(WWTP)             (ANAMMOX)         

하인 몰렌캄 대표·정진영 교수, 아나목스 공정 이용 에너지공정 제안
이싱시의 새로운 도전은 흥미롭지만 정확한 목표 설정 필요할 것으로 보여

 

[해결방안] 5개 국가의 중국 이싱시 물문제 솔루션 발표
•수파웃 트리파사이(Supawoot Tripasai) 태국 방콕 상수도관리청 전략기획 및 외교부장
•첸 데홍(Chen Dehong) 중국 샤오싱 부시장
•메간 유 슈나이더(Megan Yoo Schneider) 미국 오렌지카운티 수도관리국장
•하인 몰렌캄(Hein Molenkamp) 네덜란드 워터얼라이언스 대표
•정진영 한국 영남대 환경공학과 교수

▲ 첫 번째 세션에서는 ‘지속가능한 하·폐수처리장 구축’이라는 주제로 현재 이싱시가 직면한 하·폐수처리 문제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폐수처리장 구축방안을 설명한 데 이어 이어 태국, 중국, 미국, 네덜란드, 한국 등 5개 국가의 물 전문가가 중국 이싱시 물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시간을 가졌다.

■ 수파웃 트리파사이 부장  이싱시 하·폐수처리장(WWTP)의 물질 재활용은 정말 중요 솔루션 중 하나다. 기술적으로도 실현가능한 부분이다. 또 재활용은 지속가능한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다른 국가와 시설의 롤모델(Role model)이 될 수도 있다. ‘합리적인 재활용’이 실질적인 어려움이 될 것 같다. 궁금한 것은 이싱시에서 ‘합리적’이라는 용어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하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목표에 중점을 두는지, 아니면 경제적 부분, 아니면 품질, 아니면 중점을 두고자 하는 다른 부분이 있는지 궁금하다.
‘합리적인’이란 경제적이고 지속가능 발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부와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태국도 순환경제에 관심이 있다. 하지만 태국의 물가격 책정 구간은 정부 정책에 따라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합리적인 재활용은 태국이 처한 하나의 큰 문제다. 태국도 합리적인 상황을 찾아야 한다.

■ 첸 데홍 부시장
  미래형 하·폐수처리장을 특정 도시에 짓기에 앞서 다음 세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 ‘미래의 하·폐수처리장은 어떤 원칙에 따라 그 규모와 배치를 결정할 것인가?’이다. 두 번째는 ‘미래의 하·폐수처리장이 어떻게 각기 다른 조건과 지역에 따라 기술변화를 적용할 수 있는가?’, 마지막으로 ‘하·폐수처리장이 도시 수자원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이다.

■ 메간 유 슈나이더 국장  지속가능한 하·폐수처리장은 미래에 매우 중요할 것이기 때문에 이싱시 도전은 정말 흥미진진한 시도이다. 여기서 정말 중요한 것은 전략적 계획 수립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목표와 목적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평가하고, 혹시 특정 요구사항이 있는 것은 아닌지를 먼저 봐야 한다.

전체적인 목표를 잡고 시작하면 그 다음에 고려해야 할 중요사항들을 파악할 수 있다. ‘혹시라도 벗어나야 할 범위가 있지는 않은지?’ 또는 재생 열, 에너지, 수자원, 비료, 영양염 등 무엇이든 간에 최종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달려있고 그 외에도 어떤 제안사항이나 요구사항이 존재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후에야 비로소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다.

“하·폐수시설 계획, 4가지 관점으로 나눌 수 있어”

■ 하인 몰렌캄 대표  이싱시 하·폐수처리장 건설 계획에 대한 4가지 트렌드를 말하려고 한다. 첫 번째로 ‘에너지 자립화 하·폐수처리장’이다. 하·폐수처리장이 원수에서 흡착한 슬러지의 열 가수분해(소화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 트렌드는 ‘물질 재이용’이다. 폐수에서 인(P)을 회수해서 농사 때 비료로 사용하거나 화장실 휴지에서 셀룰로오스(cellulose)를 회수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내장형 하·폐수처리장’이다. 이는 하·폐수처리장이 도심 속 공원 같은 곳에 포함된 것을 말한다. 네 번째 트렌드는 ‘미래 비전 하·폐수처리장’이다. 에너지 중립적이고, 자원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100% 물리화학적 처리가 가능하다.

“에너지를 처리장에서 생산할 수 있어야”

■ 정진영 교수  하·폐수처리장을 다른 각도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기존 하수처리공법은 에너지 소모형 공정으로 많은 에너지를 하수처리에 사용했다. 하지만 이제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하·폐수처리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하수처리장에서 생산하는 시설을 만들어야 한다. 아나목스(ANAMMOX) 공정을 이용하면 에너지 사용량을 25%로 줄이고, 더 많은 에너지를 에너지 소화장치를 통해 생산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하·폐수처리장을 에너지 생산형 처리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 생산형 ‘하수처리 ABCD 공정’을 제안하고 싶다. A는 원수 내 유기물질을 흡착 적용하는 것이고 B는 아나목스 공정으로 처리비용을 절약, C는 흡착된 유기물질을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 D는 공정 최적화로 에너지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이 공정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를 감소시켜 ‘에너지 자립형 하수처리장’ 개발이 가능하다.

▲ 수파웃 트리파사이(Supawoot Tripasai) 태국 방콕 상수도관리청 전략기획 및 외교부장, 첸 데홍(Dehong Chen) 중국 샤오싱 부시장, 메간 유 슈나이더(Megan YooSchneider) 미국 오렌지카운티 수도관리국장, 하인 몰렌캄(Hein Molenkamp) 네덜란드 워터얼라이언스 대표, 정진영 한국 영남대 환경공학과 교수(사진 왼쪽부터) 등 5개 국가의 물 전문가가 온 & 오프라인으로 중국 이싱시 물문제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이싱시 물문제 해결방안으로는 정진영 교수의 의견이 최종 채택됐다. 대구시를 포함한 각 나라와 각 기관 대표들은 투표를 통해 정진영 교수의 솔루션을 솔루션 1위에 선정했다. 논의된 내용과 결과는 세계물도시포럼 공식 웹사이트(www.wwcf.kr)에 게재 및 공유됐다.

[『워터저널』 2020년 12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