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Issue


환경부, 상수도 현황 실시간 감시·관리하는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본격 추진한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국비 9천억여원 포함 총 1조4천억원 투자
상반기 중 기본계획 수립 후 44개 지자체에 우선 도입·전국에 순차 구축
1월 15일 정부 세종컨벤션센터서 관련 기업체 대상 정책·기술토론회 개최


▲ 환경부는 지난 1월 15일 오전 10시 환경부는 정부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상수도 관련 업체 등을 대상으로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정책·기술 토론회’를 개최했다.

▲ 조석훈 환경부 물이용기획과장이 ‘스마트 지방상수도 지원사업’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수돗물 생산 품질은 고도정수처리공정 도입, 노후관 개량 등에 힘입어 세계적인 수준이나 물 이송과정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은 여전하다. 2017년 수돗물홍보협의회의 ‘수돗물 먹는실태 조사’ 결과, 국민들이 수돗물을 먹지 않는 이유는 물탱크·수도관 불신이 41.7%로 가장 높고 상수원 오염우려(22.7%), 이물질·냄새(19.5%)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여름 인천 서구와 서울 문래동에서 발생한 붉은 수돗물 사고로 국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불안감은 더 커졌다. 특히, 인천 사고는 실시간 감시·예측 시스템 부재로 초기 골든타임을 상실한 것이 발생의 주된 원인으로, 사고 예방부터 효과적인 대응까지 수돗물 공급 전(全) 과정을 감시·예측할 수 있는 물관리 체계의 도입 필요성이 커졌다.

올해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도입

이에 정부는 지난 2019년 11월 28일 ‘수돗물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내놓고 세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8일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취수원부터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공급 전(全) 과정의 감시·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를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한다고 밝혔다.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는 수질·수량·수압 감시 장치와 자동배수설비, 정밀여과장치 등을 관망에 설치해 실시간으로 상수도 현황을 감시하고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가정을 직접 방문해 수도꼭지 수돗물 수질검사와 정보를 제공하는 ‘워터 코디(Water Coordi)’와 계량기부터 수도꼭지까지 옥내배관의 진단·세척 서비스를 제공하는 ‘워터 닥터(Water Doctor)’ 같은 소비자 맞춤형 수돗물 관리 서비스가 이러한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에 포함된다.

 
 
특·광역시 포함 44개 지자체 우선 추진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사업은 올해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총 사업비 1조4천억 원 규모(국비 8천764억 원을 포함)로 추진된다. 올해 상반기에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이 먼저 수립될 예정이며, 기본계획 수립 이후 올 하반기부터는 특·광역시를 포함한 44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스마트 관리체계가 우선 도입되며, 2022년까지 전국에 순차적으로 구축된다.

올해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가 우선적으로 도입되는 44개 지자체는 서울, 부산, 인천, 대전, 광주, 대구, 울산 등 특·광역시 7개와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지역의 시·군 37개다. 우선 도입되는 44개 지자체는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비율, 유수율, 재정자립도, 추진 의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했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통합관제센터 구축해 수돗물 공급 실시간 관리

세부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전국 스마트 관망관리 확대를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 단계는 전국 수리·수질 모델을 구축·보정하고 사업비 산출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로 총 사업비 162억 원(국비 100%)을 투자해 전국 161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한다. 기간은 착수일로부터 12개월이며 시행주체는 환경부다.

그 다음은 스마트 관망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다. 스마트 관망관리 시스템은 수돗물 공급 전(全)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물공급 과정을 감시·예측하는 시스템으로, △수질관리(재염소설비, 정밀여과장치 등) △수질감시(자동수질측정장치) △위기대응(자동드레인, 관 세척) △물관리(스마트미터 등) 관련 시설이 구축된다.

이 사업은 총 사업비 1조2천369억 원을 투입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한다. 드레인(drain)은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 이상 수질 발생 시 오염물질이 포함된 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장치다. 스마트 미터링(Smart metering)은 인터넷 등을 이용해 수돗물 사용량을 원격에서 계측하는 설비를 말한다. 

이와 함께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대한 실시간 감시체계인 통합관제센터가 구축·운영된다. 통합관제센터는 전국 수도정보 데이터 기반의 수도운영 문제점 분석 및 기술지원, 사고징후 감지, 위기발생 시 컨트롤타워(Control Tower) 역할을 수행한다. 통합관제센터 구축·운영에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총 사업비 825억 원(국비 575억 원)이 투입된다.

 
마지막으로 수도시설 이력관리, 노후시설 유지보수 필요시기·사항 등을 예측해 사고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자산관리시스템(생애주기 관리체계)을 구축하는 것이다. 생애주기 관리체계는 시설물의 전 생애에 걸친 위험요소를 파악, 필요한 유지·보수를 최소의 비용으로 추진하기 위해 여러 수단을 검토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체계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지자체 유형별 시범사업을 통해 시스템을 표준화하고, 2023년부터는 지침·매뉴얼을 개발 후 지자체의 자체 개발을 유도할 방침이다.

 
골든타임 확보로 사고에 신속 대처 가능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가 도입되면,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활용해 수돗물 공급 전(全) 과정의 수질과 물 사용량 및 관내 수압의 실시간 감시가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사고대응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어 수질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배수설비가 오염수를 관망에서 빼내 오염된 수돗물이 가정에 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수량·수압 감시로 누수지점을 적시에 확인해 사고의 확산을 방지하고 주기적인 관 세척을 통해 탁수 발생을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시에 과다한 예산을 수반하는 노후 상수도관 교체·개량 중심의 관리에서 벗어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수돗물 공급과정 관리가 가능해져, 수도시설의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밖에도 통합관제센터를 설치·운영함으로써 국민이 체감하는 물관리 일원화 성과를 창출하고 국가 상수도 운영·관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자체 수도시설 정보의 실시간 획득 및 운영지원을 통해 수도사고 위기대응 능력과 운영관리 능력을 향상시켜, 국가 상수도 관리수준과 대국민 서비스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범사업으로 ‘파주 스마트워터시티’ 사업 추진

올해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본격 도입에 앞서 시범적으로 파주에서 ‘스마트워터시티(Smart Water City)’ 사업을 진행했다. 파주시는 지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스마트워터시티’ 사업을 추진했다. 2014년 교하·적성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에 최초 착수, 지자체 및 지역사회 호응도가 증대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해 전 지역을 대상으로 3단계 사업을 추진했다.

사업의 주요 내용은 △상시수질관리시스템 및 정보제공 인프라 구축 등 수돗물 공급 시스템 개선 △파주 전 지역에 워터코디·워터닥터 서비스 제공 △건강한 물 패러다임 확산을 위해 전략적인 홍보와 교육 실시 등이다.

 
 
그 결과 파주시의 수돗물 직접 음용률이 2016년 기준 전국 평균 7.2%에 비해 5배 이상 높은 36.3%를 기록, 시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인식이 개선됐다. 아울러 수돗물 공급과정에서 잔류염소가 균등화되고 소독부산물이 저감되는 등 수질이 개선됐다. 잔류염소 농도차는 공간적으로 17.2%, 시간적으로 29.2% 줄어들었고, 소독부산물은 평균 22.9% 감소했다. 이 밖에 원격누수감시시스템을 적용해 3개소 블록의 유수율이 13.38%가량 향상됐다.

수렴 의견 검토 후 향후 사업 추진에 반영

한편, 지난 1월 15일 오전 10시 환경부는 정부 세종컨벤션센터에서 관련 업체 등을 대상으로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정책·기술 토론회’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관 세척·정밀여과장치 △공급 과정 수질계측기 △지능형(스마트) 관로 인식체계·자동 배수장치(드레인) △지능형 계량기(스마트 미터링) 등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관련 기술에 관심 있는 6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스마트 지방상수도 지원사업의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도입을 위한 주요 기술별 설계기준 등을 논의했다. 또한 수도시설의 잔존수명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적기에 보수해 사고도 예방하고 관리비용도 절약하는 ‘생애주기 관리체계(자산관리)’ 시범사업의 추진방안도 논의했다.

환경부는 이날 수렴된 의견을 검토 후 향후 스마트 지방상수도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데 반영할 계획이다. 조석훈 환경부 물이용기획과장은 “이번 정책토론회를 시작으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수돗물을 공급하는 데만 급급했던 과거의 수돗물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깨끗한 물이 각 가정까지 안전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동지영 기자]

[『워터저널』 2020년 2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