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광해방지사업 우선 시행 요청키로

폐금속광산 28곳 중 67.8%인 19곳이 토양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실시한 강원, 충청 지역 28개 광산에 대한 정밀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폐금속광산 주변지역 환경오염실태 및 그 영향을 조사해 이에 따른 관리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연차별 계획에 따라 실시됐다.

조사는 일반현황조사와 개황조사, 정밀조사 순으로 이뤄졌다. 일반현황 조사를 통해 광물을 분리하고 남은 광미 등 주요 오염원 유무를 살펴본 결과, 광미는 14개 광산에 총 665㎡, 폐광석은 21개 광산에 총 2만4천360㎡가 쌓여있었다. 토지사용 이력의 경우 28개 광산 하류지역 대부분이 논과 밭 등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생활용수는 상수도를 이용하고 있었다.

이후 실시된 개황조사 결과를 토대로 총 23곳을 정밀조사 대상으로 선정했는데, 이 중 광산 19곳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밀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총 23곳 중 충북 영동군 가리광산, 강원 홍천군 자은광산 등 19곳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했으나 모든 광산이 수질기준은 초과하지 않아 주변 하천수 및 지하수는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오염도는 전체 755개 지점(각 광산당 29개 지점) 토양시료 1천16점을 채취, 분석한 결과 총 91개 지점(12.1%)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했고, 이중 39개 지점(5.3%)이 대책기준을 초과했다.

토지용도별로 살펴보면 밭과 논, 임야 순으로 오염기준을 초과했고, 전체 초과지점 91곳 중 농경지는 76곳을 차지했다. 항목별로 카드뮴(35.1%), 구리(26.6%), 비소(13.3%) 순으로 높게 검출됐다. 이중 카드뮴은 월전광산에서 우려기준의 약 70배를 초과해 최고치를 기록했고, 비소는 가리광산에서 우려기준의 약 80배를 초과했다.

정밀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광산별 복원·관리 우선순위를 등급별로 구분한 결과, 오염개연성이 높아 시급히 복원해야할 광산(Ⅰ등급)은 삼정(용화), 만명, 가리, 호장(병사), 자은(부광) 광산 등 5개 광산이었다.

특히 옥천군 만명광산, 영동군 가리광산은 많은 양의 폐광석이 방치돼 있어 조속한 복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산시 호장(병사)광산은 농경지 오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개연성이 비교적 높아 복원이 필요한 광산(Ⅱ등급)은 대원(대일), 월전, 둔전, 자은, 유전, 의림, 지억 등 8개 광산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광해방지사업 주관부처인 산업자원부 등 관련부처에 제공, 복원사업이 시급한 광산에 대해 광해방지사업이 우선 시행될 수 있도록 요청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