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측정망 운영 결과, 조사지역 중 6.2% 기준 초과

전국 지하수의 수질이 점점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환경부가 발표한 ‘2006년 전국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 결과’에 따르면 조사지역 4천740곳 중 299곳(6.3%)이 수질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망별로 살펴보면 폐기물 매립지나 공단 등 오염물질이 많은 지역에 설치된 오염우려지역은 전체의 9.4%, 일반지역은 4.0%, 건교부가 지하수 수위 및 수량 조사를 위해 수계 대표지점에 운영하고 있는 국가관측망은 7.4%가 수질기준을 초과했다.

   
연도별 초과율은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는 2005년의 초과율 4.8%보다 1.5% 증가했다. 상·하반기 모두 수질기준을 초과한 지점은 55곳으로 2005년의 33곳보다 늘어났다.

측정망 유형별로 살펴보면 오염우려지역의 경우 공단지역의 수질기준 초과원인은 주로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크롤로에틸렌 등 발암물질이었다. 분뇨처리장 인근지역은 질산성질소, 일반세균의 초과율이 높았다. 도시주거지역은 트리클로로에틸렌 등 발암물질과 질산성질소와 일반세균 등이 모두 주된 초과원인이었다.

   
일반지역의 경우 대부분 일반세균과 질산성질소, 대장균군수 등 일반오염물질이 기준을 초과했으며 특히 인천은 다른 지역에 비해 초과율이 17%로 특히 높게 나타났다. 국가관측망은 생활용수 수질기준을 적용할 때 초과율이 7.4%로 나타났다.

용도별 초과율을 살펴보면 생활용 6.5%, 농·어업용 4.3%, 공업용 4.8%이였다. 주로 일반세균이나 질산성질소, 대장균군수 등이 초과돼 이용 중지나 시설개선 등이 조치를 받았다. 음용이 가능한 지하수의 수질기준 초과율은 4.5%로 비음용 지하수의 초과율 7.0%보다 낮았다.

전체 초과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미생물과 질산성질소는 주로 분뇨와 축산폐수, 질산성 비료로 인한 것으로 오염방지시설의 부적절한 시공 등 지하수 관정 자체의 결함 때문에 오염물질이 지하수에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부는 조사대상을 대폭 확대하고 수질전용 측정망을 설치하는 등 지하수 수질측정망의 운영방식을 개선하는 한편, 반복적인 초과지점은 주변오염지역을 대상으로 오염정밀조사를 실시해 원인을 규명하고 실질적으로 수질을 개선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