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친환경상품의 환경·경제적 편익분석 연구’ 결과

환경마크나 GR마크가 달린 친환경상품을 선택하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27일 친환경상품진흥원을 통해 실시한 ‘친환경상품의 환경·경제적 편익분석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동안 판매된 친환경 전기·전자제품으로 줄어든 온실가스는 15만4천 톤으로 2만7천772명이 연간 소비생활 과정에서 배출하는 양과 동일했다. 이는 수도권 천연가스버스 도입사업을 통해 감축한 이산화탄소의 양보다 무려 5배나 많은 양이다.

금전으로 환산하면 친환경상품 구매의 경제 편익은 약 540억 원이었다. 평균 5년이라는 내구연한을 감안한 경제 편익은 약 2천450억 원에 달했다.

이는 2005년 판매된 친환경상품의 세 배 가량에 달하는 규모다. 2005년 판매된 친환경상품으로 줄어든 온실가스는 9천305명의 연간 배출량과 비슷했으며, 경제 편익은 173억3천700만 원 정도였다. 내구연한을 감안한 경제 편익 역시 3배정도 적은 795억3천700만 원 정도에 불과했다.

지난해 한해 동안 판매된 전기·전자제품이 모두 친환경상품이라고 가정한 경우, 예상되는 효과는 막대했다. 예상되는 이산화탄소 감소량은 약 31만 명이 1년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과 같고 잠재적 경제 편익 효과는 4천800억 원이었다.

정부는 그동안 환경 개선 효과와 경제 편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공공부문의 친환경상품 의무구매 정책을 펼쳐왔다. 전체 친환경상품 구매 실적 중 공공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로 구매력이 전체 시장의 10%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무척 큰 편이다.

정부는 친환경상품 수요층을 민간으로 더욱 확대하기 위해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및 ‘종교계 친환경상품 애용 확산 선포식’ 등을 추진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해왔다. 정부는 이를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 「친환경상품구매촉진법」 개정에 따라 유통매장내 친환경상품 매장 설치와 운영이 의무화된 상태다.

이와 관련 정부는 28일 전경련회관에서 (주)신세계, (주)삼성테스코 등 30여개 유통업체 대표이사와 임원이 참석한 가운데 ‘유통업체 친환경상품 유통촉진 자발적 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번 협약은 유통업계가 고객에게 친환경상품을 소개하고 스스로 친환경상품의 소비자가 될 것을 약속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유통업계가 친환경상품 및 매장 운영정보를 교환하는 등 친환경상품의 민간 확산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친환경상품이 확산되면 그만큼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경제적 이익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