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해법 ‘바다’에 있다

   
▲ 강무현 해양수산부 장관
향후 50년 내에 온실가스를 1990년 수준으로 저감하지 않으면 전지구적으로 커다란 재앙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놀라운 것은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해서 안정시키더라도 해수면 상승과 기후변화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UN 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는 선진국들의 온실가스 배출을 1990년 이전 수준으로 돌리고자 내년부터 5년 동안 의무감축을 실행한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증가율 세계 최고 수준

우리나라는 어떤가? 우리나라는 총 6억 톤의 CO₂를 배출하고 있어 배출량으로는 세계 제10위이며 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배출 증가율은 연 5% 이상으로 세계 최고수준이다. 세계는 이런 우리나라를 주목하고 있으며 실제로 국제논의에서 우리나라를 차기 의무부담 유력국가로 지속적으로 지목하고 있다.

그러면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은 무엇인가? 우리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총리실을 중심으로 지난 9년 동안 3차례에 걸쳐 전 관계부처가 종합대책을 수립해 실행하고 있다. 앞으로 세워질 정부 4차 종합대책은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보다 나은 대안을 제시하리라 생각된다.

향후 5년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 우리나라에게 큰 전환의 시기가 될 것이다.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이 눈앞에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기이기 때문이다.

해양은 온실가스의 최종 기착점이다. 우리가 배출한 온실가스는 결국 해양에 의해 흡수된다. 해양이 온실가스를 받아들이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온실가스로 인해 해양은 산성화 되고, 열팽창으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태풍과 해일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처럼 온실가스의 증가가 끼치는 전 지구적 영향은 심각한 수준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에 1조 원 이상의 재산 피해를 낸 태풍은 총 6회 발생했는데 2000년대에 집중적으로 발생했었다. 미국도 2005년 태풍 카트리나에 의해 천문학적인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당했었던 경험이 있다.
이렇게 엄청난 결과를 초래하는 온실가스를 어떻게 처리해야 온난화 속도를 늦출 수 있을 것인가.


바다는 막대한 온실가스 저감 잠재력 지닌 공간

그 방법 또한 바다에서 찾을 수 있겠다. 바다는 막대한 온실가스 저감잠재력을 지닌 공간으로 육지의 4.5배 크기이다.

해양에서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방안으로는 우선 육상에서 포집한 온실가스를 해양의 지중에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영국, 노르웨이 등 선진국에서는 해양지중저장을 통해 2050년대에는 온실가스 무배출(Zero Emission)을 선언하고 있을 정도로 현실성이 높은 기술이다. 이와 함께 육상 식물보다 3배 이상 높은 온실가스 흡수력을 보이는 해조류를 온실가스 흡수에 활용하는 방법이 연구 중에 있다.

또 파도와 조류를 이용하여 청정에너지를 개발한다든지 해조류를 바이오연료로 전환하여 재생에너지로 만드는 방법 등을 통해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는 방법도 현재 개발 중이다.

정부대책에서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우리 국민들이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해수온과 해수면 상승에 대비한 연구와 관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보다 과학적인 예측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해양의 변화로 인해 피해를 받게 될 취약지역이 어디인지 조사하고 피해의 영향이 어디까지 미칠지를 평가하는 등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 및 영향평가를 실시해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 미뤄 볼 때, 기후변화로 영향을 가장 많이 받게 될 곳은 ‘연안지역’일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지역발전이라는 이름으로 매립·간척되는 연안이 기후변화에는 매우 취약한 지역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되겠다.

인간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 더 나아가 인류문명의 존폐에 영향을 미치는 그동안의 기상이상 징후가 해양의 훼손에서 기인했다면 이제는 해양을 통해 기후변화를 막아야 한다. 해양은 우리에게 지구 온난화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해 주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