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면 개방했던 금강·영산강, 자정능력 좋아져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2017년 6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4대강 16개 보 중 11개 보를 개방하여 관측(모니터링)한 종합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종합 분석한 11개 보는 금강 3개(세종, 공주, 백제), 영산강 2개(승촌, 죽산), 낙동강 5개(상주, 강정고령, 달성, 합천창녕, 창녕함안), 한강 1개(이포)다.

약 18개월간의 관찰 결과에 따르면, 보 개방 시 체류시간 감소, 유속 증가 등 물흐름이 크게 개선되고, 수변 생태서식공간이 넓어지는 등 강의 자연성 회복 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수계 전체 수문을 전면 개방했던 금강과 영산강은 자정계수가 각각 최대 8.0배, 9.8배 상승하는 등, 보 개방 시에는 하천의 자정능력이 크게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정계수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산소를 소비하는 속도와 공기 중 산소가 수중으로 공급되는 속도의 비로, 자정계수가 클수록 하천의 자정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캡처1

자정계수는 보 개방시 하천의 수심이 저하되고 유속이 상승함에 따라 커졌으며, 수계 전체를 전면 개방한 금강·영산강의 자정계수가 일부 보만 개방했던 낙동강, 한강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부문별로 보면 수질의 경우, 세종보·승촌보 등 최대 개방보를 중심으로 녹조 및 저층빈산소(산소 부족 현상) 발생이 감소하는 등 수질개선 가능성을 확인했다.

세종보의 경우에는 개방기간(2018년 1월24일~12월31일) 동안 조류농도가 40.6mg/m3에서 28.4mg/m3으로 예년 같은 기간 대비 30% 감소했다.

승촌보는 여름철 녹조발생기간('18.6~9월)의 유해남조류 출현이 1천535cells/mL에서 221cells/mL으로 예년 동기간 대비 15% 수준으로 감소했다.

또한, 보 개방 시에는 모래톱 등 생태공간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물새류와 표범장지뱀, 맹꽁이, 삵, 수달과 같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개방 이후 개방 전월대비 백로류(텃새화된 물새류)의 개체수는 11마리에서 129마리로 한강 이포보에서 가장 크게 증가(11.7배)했다.

캡처2

또한 세종보, 창녕함안보 등에서는 유수성 어류가 증가하고 오염내성종이 감소하는 등 수생태계의 건강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유수성 어류는 물 흐름이 빠른 곳에서 주로 서식하는 어종. 피라미, 참마자, 참몰개 등을 말하며, 오염내성종 오염에 강한 저서생물종으로 참거머리, 물자라 등을 일컫는다.

다만 지난해 여름 극심한 가뭄과 고온으로 보 개방에 따른 녹조  저감 효과는 제한적이었다고 분석되었다.

여름철 전국 강수일은 27.1일로 평년 대비 10.2일 감소했으며,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은 1973년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폭염일수(최고기온이 33℃ 이상)도 31.4일로 가장 길었다(평년 9.8일).

또한, 낙동강의 경우에는 충실한 실측자료 확보를 위해 개방 폭과 기간을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수질 등 분야별 측정주기를 단축하고, 관측 지점, 항목을 확대하여 보 개방시 관측 자료를 최대한 확보하고, 수계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관측(모니터링)을 추진할 계획이다.

4대강 16개 보에 대한 보 개방·관측 종합 분석 보고서 전문은 보 관측(모니터링) 종합정보 시스템(water.nier.go.kr)에 이달 말 공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