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 국민의 93.2% 공공하수도 혜택…2016년 통계 발표
하수처리 후 공공수역 방류수질, 2007년 평균 BOD 8.0mg/L서 2016년 4.0mg/L로 개선
하수처리수의 공업용수 등 재이용, 2008년 7억 톤에서 2016년 11억 톤으로 증가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우리나라 하수도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2016년 하수도 통계'를 공개했다.

하수도 통계는 관로 및 처리장 등의 하수도 시설을 비롯해 공공하수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인구, 하수처리장의 유입·방류 수질, 하수도 처리원가 및 요금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2016년 하수도 통계'는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이 지난해부터 1년간 지자체 등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제공받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주요 통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인구 중 공공하수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인구(공공하수도 보급률)는 93.2%(4천927만5천118명/5천285만7천894명)로 전년 대비 0.3%p(35만69명) 증가했다.

공공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하수의 평균 수질은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이하 BOD)' 기준으로 166.6㎎/L이다.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적정하게 처리된 이후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는 하수처리수의 평균 수질은 BOD 기준으로 4.0㎎/L이다.

2007년 94.1%에 이르는 하수 제거효율이 2016년에는 97.6% 높아지는 등 처리시설에 유입되는 하수의 제거효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빗물과 하수를 분류하는 하수 관로가 늘어나면서 처리시설에 들어오는 하수의 오염물질 농도가 매년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하수처리수의 수질이 좋아지고 있는 것은 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질 기준 강화와 이에 따른 시설의 확충 및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전국에 설치된 하수관로의 총 길이는 14만3천168km(경부고속도로  길이의 399배)로 전년 대비 5천975km(4.4%)가 늘어났다.

빗물(우수)과 오수를 같은 관에 모아 이송하는 합류식 관로의 길이는 전체의 30.6%인  4만3천738km이며, 오수 전용 이송 관로는 40.7%인 5만8천334km다. 나머지 28.7%는 빗물 전용 이송 관로이며 길이는 4만1천96km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합류식 하수관로의 확충이 급속히 이뤄졌다. 2000년대 이후부터는 하천 수질 개선, 도시 침수 예방, 악취 저감 등을 고려하여 분류식 하수관로 정책이 추진됐다.
 
공공하수도 보급지역 확대, 고도처리시설 확충 등으로 하수도 투자비(설치비, 개ㆍ보수비 등)가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2016년 하수도 요금은 전국 평균 1톤당 469.1원으로 2007년의 252.4원보다 85.9% 상승했다.

지자체별 하수도 요금은 부산(611.1원/톤), 인천(554.1원/톤), 서울(524.2원/톤)순으로 높다. 세종(246.7원/톤)이 전국 광역시·도 중에서 하수도 요금이 가장 낮다.

전체 하수도 재정 지출 중 하수도 요금*으로 충당하는 비율은 지난 10년간 42.6%에서 44.2%로 소폭 상승했다.

이 밖에 2008년 연간 7억 톤이던 재이용량이 2015년 10억 톤, 2016년 11억 톤으로 증가했다.

2016년 기준으로 재이용 하수처리수의 주요 용도는 하수처리장 내 이용(5억7천만 톤, 50.7%), 하천유지용수(3억9천만 톤, 35.4%), 공업용(6천만 톤, 5.6%), 농업용(1천만 톤, 1.1%) 순이다.

이번 '2016년 하수도 통계'의 상세 자료는 환경부 누리집(http://www.me.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유호 환경부 생활하수과장은 "하수도의 기능이 오염된 물의 처리와 빗물의 신속한 분리에 그치지 않고, 수자원(하수처리수 이용)으로서의 활용, 에너지 생산·절약 등으로 발전함에 따라 향후 '하수도 통계'에 '에너지 자립도'를 추가하는 등 하수도통계 관리체계를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