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3년에 이어 또다시 국내에서 인체감염 가능성이 높은 고병원성인 H5N1형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견됐다. 정부는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그간 세밀한 준비를 갖추어 왔기에 대응 매뉴얼에 따라 현재 농림부와 긴밀한 공조체계 하에 신속히 대처하고 있다.

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사태 발생 신고 접수 즉시 ‘신속대응반’을 현장에 파견하여 농장 종사자 및 살처분 참여자 등에게 타미플루(항바이러스제)투여·개인보호장구 보급·독감백신접종 및 살처분 사전 교육 등 인체감염 예방 조치를 체계적으로 실시해 인체감염 의심환자는 현재까지 발생하지 않았다.

차분하게·신속하게·꼼꼼하게 대응

국민도 지난 2003년 ‘조류독감 파동’을 한 차례 겪은 학습효과 덕분인지 전에 없이 차분하고 성숙하게 반응하고 있고 지나친 불안감으로 인한 닭고기, 오리고기 기피 양상이 심각치 않아 향후 전망을 한층 밝게 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인체감염으로 인한 유증상 환자사례가 보고된 적은 없을 지라도 더 이상 세계 어느 나라도 AI 유행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으므로 이번 국내의 조류인플루엔자 재발을 계기로 우리의 대비태세 및 향후 대처 방안 등을 재점검해 보고자 한다.

WHO 통계에 따르면,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은 2003년부터 현재까지 10여 개국에서 총 258건이 발생하였으며, 감염자 중 153명이 사망하여 치명률이 59%에 이르는 무서운 질병이다.

이러한 조류인플루엔자의 국내발생시 확산 방지대책, 외국으로부터 국내 유입시 대책 등 그간 우리 정부는 다방면의 가능성에 대비해 왔다. 특히 1999년 WHO에서 제시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및 대응단계’를 범정부 위기관리 지침에 따라 ‘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재구분하여 각 단계별 대응책을 마련하여 왔다.

2004년 상반기부터 구성된 ‘인수공통전염병대책위원회’를 통해 농림부와 상시 협력·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이번 사태 발생초기부터 공조 체제가 가능하였다.

국내 AI 인체감염 진단능력 또한 지난 2003년 유행 당시에 비해 괄목할 만큼 향상했다. 과거 유행 당시에는 유증상자의 호흡기 분비물에 대한 PCR(유전자 증폭검사)만 가능하였으나, 2년간 끊임없는 사전 준비 및 시험연습을 거친 결과 현재는 무증상감염자도 진단 가능한 항체검사능력을 확보했다.

국제사회와의 공조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WHO에 관계전문가를 지속적으로 파견해 왔으며, 중국·일본·홍콩·대만 등 주변국과 MOU(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핫라인을 개설하여 정보공유체계 확립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위기관리도 국가적 브랜드로 부상

이와 같은 철저한 준비와 노력의 결과 우리나라의 AI로 인한 인플루엔자 대비 위기관리 능력은 국가적 브랜드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 2005년에 이어 올해 10월에 개최된 ‘전염병 위기대응 훈련’ 은 국제사회와 언론의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에 훈련 기술 지원을 요청한 국가도 상당수에 이른다.

앞으로 타미플루 등 항바이러스제 비축 및 국내 발생시 초기 확산 방지를 위해 필수적인 적정 격리병상 확충에 힘쓸 계획이다. 격리병상은 올해를 시작으로 2009까지 총 400여 병상을 확충할 예정이다.

공중보건위기는 비단 국민보건상의 위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위기도 필연적으로 수반한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조류인플루엔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GDP의 약 2%가 손실될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따라서 대규모 노동력 상실, 식량·식수·전력차질, 교통 등 사회 인프라시설 유지 및 금융·산업 마비에 대한 범정부적 위기관리 대책에 대한 지침을 보완 중에 있다.

지난 2003년의 SARS 및 조류인플루엔자 유행 시 우리는 성공적으로 대처하여 단 한 건의 인체감염 발생도 허용치 않았다.

하지만 동남아·유럽 등지에서 AI 인체감염이 지속적으로 발병하는 추세이며 상호 교류와 여행객의 증가로 해외유입의 가능성은 늘 상존하므로 과거 성공에 자만하지 않고 여행시 가금류 접촉을 자제하는 활동 지침보급과 아울러 철저한 감시와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지나친 우려는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