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Focus  2015년 상수도 통계

2015년 전국 상수도 보급률 98.8%

급수인구 5천200만명 넘어…도시·농어촌 간 물복지 격차 꾸준히 감소
상수도관 노후로 누수량 6억8천708만㎥…연간 손실액 무려 6천58억원


환경부, ‘2015년 상수도 통계’ 발표

전국의 상수도 보급률이 99%에 육박하고 수돗물을 공급받는 인구가 5천200만 명을 넘어섰지만 상수도 보급률이 증가하는 것에 비례해 물 사용량과 누수율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우리나라 상수도 서비스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2015 상수도 통계’를 지난 2월 10일 발표했다. 매년 발표되는 상수도 통계는 취·정수장, 상수관망 등 상수도 공급시설을 비롯해 급수인구, 급수량, 수도요금 등의 현황 정보를 담고 있다.

 
지난 2015년도 전국 상수도 보급률은 전년(2014년) 대비 약 0.2%p 상승한 98.8%로 나타났다. 2015년 말 기준 전국 161개 지방상수도사업자(특·광역시 7곳, 특별자치시 1곳, 특별자치도 1곳, 시 75곳, 군 77곳)와 1개 광역상수도사업자가 전국에 상수도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수돗물을 공급받는 인구(급수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98.8%인 약 5천204만 명, 1인당 하루 수돗물 평균 사용량은 약 282L인 것으로 집계됐다.

농어촌 상수도 보급률은 전년 대비 약 0.8%p 상승한 수치로 지난 2006년 75.7%의 저조한 수준에서 2011년 87.1%, 2015년 92.3%로 매년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행정구역별로 비교해 보면 서울특별시 등 7곳의 특·광역시는 99.9%, 시 지역은 99.4%, 농어촌지역(면 지역)이 92.3%로 각각 나타났다. 이는 도시와 농어촌 간 상수도 보급률 차이는 여전히 존재하나 그 격차는 매년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누수율 10.9%…수도관 노후가 주원인

 
전국에 설치된 상수도관은 1996년 이전에 설치된 관로가 6만3천849㎞(약 32.3%)에 달하는 등 노후 상수도관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년 이상된 노후 상수도관의 비율을 살펴보면 2006년 20.6%, 2011년 29.3%, 2015년 32.3% 등 매년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정수장에서 사용자에게 수돗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수도관 노후 등으로 인해 손실되는 수돗물의 양(누수율)은 연간 수돗물 총 생산량의 10.9%인 약 6억8천708만㎥로 추정된다. 이렇게 손실된 수돗물 양을 전국 수돗물 평균 생산원가(887.1원/㎥)를 적용해 환산할 경우 연간 6천58억 원에 이른다.

한편, ‘수돗물의 생산원가 대비 수도요금(요금현실화율)’의 전국 평균은 전년 대비 1.4%p 증가한 77.5%로 개선됐으나 지역에 따라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과 울산 지역의 요금현실화율은 100%인 반면 지형적 여건으로 생산원가가 비싼 강원도 지역의 경우 요금현실화율이 56.3%로 저조한 편이다. 전국 수돗물 평균 요금은 1㎥당 683.4원이다.

전국 상수도 급수인구 5천204만명

■ 상수도 보급 현황  2015년 말 기준 우리나라는 전국 161개 지방상수도사업자(특·광역시 7곳, 특별자치시 1곳, 특별자치도 1곳, 시 75곳, 군 77곳)와 1개 광역상수도사업자가 전체 인구의 98.8%인 약 5천204만5천 명에게 상수도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15년 상수도 보급률은 약 98.8% 수준으로 이는 전년 대비 0.2%p 상승한 수치이다. 행정구역별로 비교해 보면 7개의 특·광역시가 99.9%, 시 지역(동 지역)이 99.4%, 읍 지역이 97.2%, 면 단위 농어촌지역이 92.3%인 것으로 조사됐다. 농어촌 지역의 상수도 보급률은 전년 대비 0.8%p 상승했다.

 
지역별 상수도 보급률은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100%) 등 특·광역시와 제주도(100%), 전라북도(99.2%), 경상남도(99.5%)에서 99% 이상으로 높고 세종특별자치시·전라남도·강원도(95.4%), 충청남도(93.1%)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취수장 가동률 제주·전라도서 최고

■ 취수시설 현황  2015년 말 기준 전국 취수시설용량은 약 3천259만1천㎥/일 수준이다. 취수원별로는 댐이 1천528만㎥/일(46.9%), 하천표류수가 1천466만8천㎥/일(45.0%), 하천복류수가 166만7천㎥/일(5.1%), 지하수가 57만2천㎥/일(1.8%), 기타 저수지가 40만4천㎥/일(1.2%)이다.

 
연간 취수량은 약 65억5천200만㎥이며 취수원별로는 연간 댐 32억6천900만㎥(49.9%), 하천표류수 25억9천900만㎥(39.7%), 하천복류수 4억5천만㎥(6.9%), 지하수 1억7천만㎥(2.5%), 기타저수지 6천400만(1.0%) 순이다.

2015년 한 해 취수장 가동률은 68.1%였으며 이 중 지방상수도의 가동률은 66.6%, 광역상수도의 가동률은 70.2%를 기록했다. 지방상수도의 취수장 가동률은 전년대비 4.5%p만큼 증가한 반면 광역상수도는 2.7%p 감소했다. 지역별 취수장 가동률은 제주도(107.3%), 전라남도(103.8%), 전라북도(98.3%) 순으로 높고 대전광역시(47.3%), 부산광역시(48.6%), 서울특별시(59.8%)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국 정수장 연간 가동률 78% 수준

■ 정수시설 현황  2015년의 정수처리시설용량은 하루 기준 약 2천682만4천㎥ 규모로 파악됐다. 정수처리방식별 시설용량은 △급속여과방식 1천603만3천㎥/일(59.8%) △고도처리방식 970만3천㎥/일(36.2%) △완속여과방식 54만6천㎥/일(2.0%) △소독만의 방식 33만9천㎥/일(1.3%) △막여과방식 20만3천㎥/일(0.7%) 순이었다.

 
1년간 전체 정수장 가동률은 78.0%로 나타났으며 전국 정수장 499개 중 지방상수도가 462개, 광역상수도가 37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지방상수도의 가동률은 76.4%, 광역상수도의 가동률은 82.7% 수준으로 전년 대비 지방상수도는 1.6%p, 광역상수도는 7.8%p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시·도별 정수장 가동률은 제주도(98.9%), 전라북도(97.3%), 경상북도(97.0%) 순으로 높았으며 대전광역시(48.7%), 인천광역시(67.5%), 경상남도(68.0%)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 전국 정수장은 499개로 이중 지방상수도가 462개, 광역상수도가 37개이며 정수장 가동률은 78.0%로 나타났다.

배수지 2천63개·용량 1천122만㎥

■ 배수지 현황  급수량을 조절해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의 배수지는 2015년 기준 2천63개소로 총 시설용량은 약 1천122만9천㎥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103개소가 증설되고 이에 따른 시설용량 역시 40만7천㎥ 늘어났으며 시설 수와 시설용량은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 배수지는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가 각각 267개, 255개, 251개로 가장 많고 세종특별자치시가 13개, 광주광역시가 15개, 울산·인천광역시가 24개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배수지 시설용량은 경기도가 279만6천㎥, 서울특별시가 241만9천㎥, 경상남도가 63만8천㎥ 순으로 크고 세종특별자치시가 5만1천㎥, 제주도가 15만2천㎥, 울산광역시가 23만7천㎥ 순으로 적었다.

21년 이상 경과 수도관 30% 육박

■ 관로 현황  2015년 말 기준 수도관 총연장은 19만7천535㎞이다. 이 중 지방상수도는 19만2천228㎞로 97.3%, 광역상수도는 5천247㎞로 2.7%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수도관 연장 중 취수시설에서 정수장으로 연결되는 도수관은 3천382㎞(1.7%), 정수시설에서 배수구역으로 이어지는 송수관은 1만1천221㎞(5.7%), 배수지역에서 급수지역으로의 배수관은 10만8천444㎞(54.9%), 배수관에서 가정 등 일반 수용가로 전달되는 급수관은 7만4천488㎞(37.7%)를 차지한다.

관종별로는 △덕타일 주철관 4만9천595㎞(25.1%) △PVC관 3만7천788㎞(19.1%) △PE관 3만5천448㎞(17.8%) △스테인레스강관 2만4천166㎞(12.2%) △기타관 1만6천112㎞(8.2%)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밖에도 △액상에폭시 도복장강관 1만67㎞(5.1%) △에나멜코팅 도복장강관 9천959㎞(5.0%) △아연도강관 848㎞(0.5%) △동관 302㎞(0.2%) △흄관 38㎞(0.1%)이 사용되고 있다.

 
수도관 총 연장 중 설치 후 21년 이상 경과된 노후관은 5만8천545㎞로 29.6%이었으며 16∼20년은 2만6천375㎞(13.4%), 11∼15년은 3만1천826㎞(16.1%), 6∼10년은 3만9천443㎞(20.0%), 5년 이내는 4만1천346㎞(20.9%) 순으로 조사됐다. 연도별 수도관의 신설, 교체, 개량현황을 살펴보면 2015년의 경우 전체 수도관 중 신설율 2.7%, 교체율 0.8%, 개량율은 0.5%로 나타났다.

 
GIS 구축관로 69.7%…매년 확대

■ GIS 구축현황  GIS 구축관로의 비율은 전국 평균 69.7%로 매년 상승 추세에 있다. GIS는 지리정보를 필요 목적에 따라 수집·저장·변환한 컴퓨터 응용 시스템으로 상수도의 경우, 수원지, 취·정수장, 배수지 급수전 및 관로설비, 제어설비 등의 정보를 구축해 사용된다.

전국 GIS 구축 중 관로 연장은 13만7천671㎞로 이 중 지방상수도는 13만2천424㎞(96.2%), 광역상수도는 5천247㎞(3.8%)를 차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2만8천140㎞), 서울특별시(1만3천697㎞), 경상남도(1만1천556㎞)순으로 크고, 울산광역시(3천52㎞), 충청북도(3천676㎞), 광주광역시(3천797㎞)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 배수블록시스템 운영 상황  배수블록시스템은 복잡한 급수체계를 대·중·소블록으로 분할하여 유량 및 수압에 대한 관망 감시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수량의 효율적 관리 및 안정적인 용수 공급, 유수율 제고 등의 목표 달성을 위해 체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배수블록시스템 운영은 매년 확대되고 있으며, 2015년 기준 시스템 실행률은 대블록 69.9%, 중블록 67.8%, 소블록 75.5%로 파악됐다.

지역별 배수블록시스템 구축현황을 살펴보면 대블록의 경우 서울·부산·대구·대전·울산광역시의 실행률이 100%로 가장 높고 경상남도 93.9%, 전라북도 86.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블록의 경우 부산·대구·대전광역시가 100%, 전라남도 91.8%, 인천광역시 84.4% 순으로, 소블록은 서울·부산·대구·대전광역시가 100%, 울산광역시 99.1%, 인천광역시 91.3% 순으로 나타났다.

 
■ 소규모 수도시설 현황  지방·광역 상수도 이외의 시설인 소규모 수도시설은 2015년 말 총 141만3천㎥/일(1만7천282개소)로 매년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수도시설은 주민이 공동으로 설치·관리하는 급수인구 100명 미만 또는 1일 공급량 20㎥ 미만인 급수시설 중 특·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광역시의 군수는 제외)가 지정하는 급수시설이다.

 

▲ 주민이 공동으로 설치·관리하는 급수인구가 100명 미만이거나 하루 공급량이 20㎥ 미만인 소규모 수도시설은 2015년 말 총 141만3천㎥/일, 1만7천282개소로 매년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수도요금 ㎥당 683.4원

■ 급수현황  2015년 1년간 우리나라에서 공급한 수돗물 총량은 62억7천900만㎥으로 이 가운데 누수량(송수시점 이후 급수사용자의 계량기 이전까지 발생한 손실수량) 등을 제외한 실제 유효수량은 55억8천500만㎥이다. 유수수량은 52억9천300만㎥(유수율 84.3%)로 유수율은 전년 대비 0.6%p 증가했으며 누수율은 10.9%로 전년대비 0.2%p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 물 사용량 현황  업종별 물 사용량은 가정용이 33만4천400만㎥(64.0%)으로 가장 많고 △영업용 14만8천900만㎥(28.4%) △업무용 1만8천400만㎥(3.5%) △공업용 1만1천800만㎥(2.3%) △욕탕용 7천500만㎥(1.4%) △기타 1천900만㎥(0.4%) 순으로 나타났다.

하루 1인당 물 사용량은 282L로 전년대비 2L 증가했다. 지자체별 사용량을 살펴보면 충청북도(364L)가 가장 높고 충청남도(315L), 강원도(309L), 경상북도(304L), 인천광역시(297L)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수도요금 현황  2015년 전국 평균 수도요금은 683.4원/㎥으로 생산원가 881.7원/㎥의 77.5% 수준으로 전년 대비 1.4%p 상승했다. 지역별 현실화율은 인천광역시가 102.5%, 울산광역시가 101.0%, 대전광역시가 97.5%로 높고 강원도가 56.3%, 경상북도가 59.2%, 전라남도가 62.4%로 낮게 나타났다.

 
부채액 7천324억원…13% 감소

■ 재정 및 직원 현황  2015년도 총 세입액은 7조4천301억 원으로 이중 자본수입(수도요금, 과년도 이월금, 시설분담금, 수탁공사비 등)이 6조4천941억 원(87.4%), 보조수입(도보조, 교부세, 일반회계보조금 등)이 9천319억 원(12.5%), 기채수입(재정융자, 공채, 차관, 차입금 등)이 41억 원(0.1%)이다. 또한 부채액은 7천324억 원으로 전년대비 1천113억 원이 감소했다.

총 세출액은 7조4천301억 원으로 이 중 유지관리비(동력비, 인건비, 약품비, 수선유지비, 원·정수 구입비 등) 3조3천427억 원(45.0%), 공사비(확장, 개량 등) 1조9천162억 원(25.8%), 원리금 상환액(이자, 원금) 1천940억 원(2.6%)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이월금 등) 1조9천772억 원(26.6%)이다.

▲ 상수도 분야 종사인력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2015년에는 2014년보다 172명이 증가한 1만3천407명으로 집계됐다.

한편, 상수도 분야 종사인력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2015년 말 기준 전년 대비 172명(1.3% 증가)이 증가한 1만3천407명으로 집계됐다. 직렬별로 구분하면 행정직 2천184명(16.3%), 기술직 6천176명(46.1%), 기능직 1천646명(12.3%), 일용직 등 기타가 3천401명(25.3%)  등으로, 기술직이 절반 가까이 달했다.  

[동지영 기자]

[『워터저널』 2017년 3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