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재근 박사 칼럼
 

지하수의 고갈과 오염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류 재 근 박사
·본지 회장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명예석좌교수
·(사)한국환경학술단체연합회장
·UNEP 한국위원회 이사
·(전)한국물환경학회장(현 고문)
·(전)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6,7대)
·(전)국립환경과학원장
·(전)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수자원으로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연중 크게 변화가 없는 특성 덕분에 여름철에는 냉각용수, 겨울철에는 양어용수로 사용되는 등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지하수는 빗물, 지표수 또는 관계용수가 오랜 기간에 걸쳐 삼투한 것으로 지표수에 비해 수질이 훨씬 양호하다. 따라서 상수원수로서는 맛이 좋다는 점과 더불어 적합한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입수하기 쉽고 값싸게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때문에 과거 특정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대규모의 지하수를 이용하는 경우, 주위의 우물이 완전히 말라버리거나 수량이 줄어 필요량을 확보할 수 없는 사례가 발생하기까지 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전반적인 물순환 과정에서 지하수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우물에 관하여 수량의 한계를 조사하고 지하수역 전체적으로 지하수의 거동 또는 함량을 밝히는 것이 우선이다.

최근에는 산림과 논의 면적이 줄어들고 도시 면적이 확대되면서 지하수 함량이 감소하고 지하수위가 낮아지고 있다. 때문에 땅속으로 빗물의 침투량을 증대시키는 연구나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논에 물을 넣어두거나 우물을 통해 인공적으로 지하수를 함양하려는 시도가 생겨나고 있다. 지하수는 지진 등 비상 시 귀중한 수원으로서 항상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일단 오염이 된 지하수를 원상태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오염된 상태로 있었던 시간만큼의 세월이 필요하다. 지하수의 과잉 사용은 지하수의 전체적인 균형을 깨뜨려 해안지대로부터 해수의 침입을 야기했으며 회복이 거의 불가능한 지하수의 염수화를 초래했다. 제주도 해안지대 및 전국 연안대에서는 이미 염수화가 진행되고 있다.

비교적 국소적인 현상인 지하수 오염과 더불어 유해한 화학오염물질 문제도 심각하다. 이황화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노르말헥산 등의 해로운 유기용제는 실은 물보다 토양에 삼투하기 쉬운 특성을 갖고 있어 소량이어도 광역적인 지하수 오염을 야기하기 쉽다. 또 최근에는 육류 소비의 증가로 축산 분뇨에 의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증가함에 따라 질산성 질소가 전국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모름지기 지하수를 국토의 구성요소로 명확히 자리매김하고, 지표수와 지하수의 일체된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정책이 확립되기를 바란다.

[『워터저널』 2016년 11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