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은 교토의정서 발효(2005. 2. 16) 1주년을 맞아 “기후변화협약 대응 산림부문 연구방향”이라는 주제로 산림부문에서의 국·내외 논의동향 및 앞으로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학술심포지엄을 14일 오후 2시 산림과학관(구내)에서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기후변화협약 산림부문 논의동향 및 대응 연구 개요(산림평가과 이경학) △산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연구방향(산림평가과 손영모) △국내외 산림 탄소흡수원 확충 기술 및 정책 연구방향(임업경제과 배재수) △재생자원인 목질바이오매스 이용 연구방향 (화학미생물과 최돈하) △산림생태계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체계 연구방향 (산림생태과 임종환) 등의 주제로 발표가 있었다.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지도 모를 지구온난화를 막고자하는 범세계적인 노력이 리우환경회의 이후 기후변화협약 하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의 의무적인 온실가스 감축 이행을 위하여 2005년 2월 16일 교토의정서가 발효되었다.

교토의정서가 발효됨으로 인하여 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증가에 의한 지구환경변화를 방지하자는 환경문제인 동시에, 이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산업활동의 주된 요소인 에너지 사용을 줄여야만 하는 경제문제가 대두되게 된 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9위의 OECD 가입국이라는 점에서 선진국으로부터 의무부담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으며, 2차 의무이행기간(2013∼2017)에서는 의무를 지게 될 것이 거의 확실시된다.

한편, 교토의정서에서는 새로 조성하거나 가꾼 숲에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 이를 의무이행실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으며, 따라서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부담을 줄이기 위해 숲과 목재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최대한 흡수·저장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에 교토의정서 발효 1주년을 맞아 산림부문에 있어 기후변화협약 논의동향, 온실가스 인벤토리, 탄소흡수원 확충 기술 및 정책, 목질바이오매스 이용,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등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관련 전문가와의 폭넓은 의견 수렴 및 교류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립하고자 한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