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415종의 화학물질 중 하나 이상을 연간 1~10톤 이상 취급(제조 또는 사용)한 3천268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2012년 화학물질 배출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2011년 대비 2.2% 감소했고 1급 발암물질은 2007년에 비해 4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2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은 5만 1천121톤이며 이는 2011년에 비해 5.1% 증가한 1억 5천815만 톤의 화학물질 취급량을 통해 배출한 양이다.

환경부는 화학물질 취급량 대비 배출량을 비율로 계산해 보면 2011년 0.035%에서 2012년 0.032%로 감소하는 등 2004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1급 발암물질(유엔 산하 국제암연구기관 분류기준) 배출량은 전체 화학물질 배출량의 0.7%인 383톤이며 2011년보다 21톤 감소했고 2007년에 비해서는 45% 감소했다.

환경부는 그간 계속 증가세를 보였던 디클로로메탄(발암물질 분류 2B) 배출량은 오창산단내 사업장의 배출저감 노력(2천999톤→2천65톤, 31.1% 감축) 등으로 2011년보다 7.3% 감축됐고 향후 발암물질 배출저감에 대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사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화학물질 별로는 선박 및 자동차 제조시 용매제, 희석제로 사용하는 자일렌(34.0%), 톨루엔(12.8%) 등의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업종별로는 운송장비 제조업에서 32.9%, 고무·플라스틱 제조업이 12.1%,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8.7% 등을 각각 차지했다. 광역자치단체 지역별로는 경남 18.6%, 울산 16.7%, 경기 15.8%, 충북 9.4%, 전남 7.9%, 경북 7.5% 순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은 운송장비 제조업에서, 울산은 대규모 산업단지에서, 경기는 사업장 수가 많은 점이 화학물질 배출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화학물질의 배출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이유에 대해 산업계와 함께 추진한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 협약, 정보교류회 등 다각적인 사업과 산업계의 자발적 협약 사업장을 중심으로 추진한 방지시설 교체 및 개선, 제조공정 효율화 등 다양한 배출저감 활동의 결과가 맞물려서 나타난 효과라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2012년부터 벤젠, 1-3부타디엔, 디클로로메탄 등 발암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배출원인 진단을 통해 배출저감을 추진하는 스마트(SMART)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배출저감 기술지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 화학물질과 이병화 과장은 “산업구조의 고도화로 화학물질의 취급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만큼 기업체에서는 국민의 건강 보호를 위하여 꾸준히 배출저감 활동을 해야 한다”며 “정부에서도 기업체에서 자발적으로 배출저감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더욱 체계적인 관리 및 저감 정책을 마련을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기업의 자발적인 화학물질 배출저감을 유도하기 위해 개별 사업장별 배출량을 공개하고 있다. 세부내용은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