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2011년도 우리나라 다이옥신 국가배출량이 120.9g I-TEQ로 2001년 1004g I-TEQ에 비해 88% 감소됐다고 10일 밝혔다.

다이옥신은 화학 물질 중에 가장 위험하다고 알려진 물질로 주로 폐기물, 석탄, 석유 등을 태우거나 제철제강, 비철금속 등 산업활동에 따라 비의도적으로 발생돼 주변에 배출된다.

I-TEQ는 다이옥신 이성체 중 가장 독성이 강한 2, 3, 7, 8-TCDD(Tetra Chloro Dibenzo Dioxin)의 독성을 1로 보고 17가지 다이옥신에 대해 값을 적용한 농도이다.

환경부는 전국 약 1천800여개 소각시설 및 비소각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배출농도를 측정한 결과, 2011년 국내 소각시설(폐기물처리시설)은 42.8g I-TEQ의 다이옥신을 배출해 전체 배출량의 35.4%를 차지했으며 이는 2001년 배출량 880g I-TEQ과 비교해 95% 감소한 수치라고 밝혔다.

또 비소각시설의 배출량은 78.1g I-TEQ로 전체 배출량의 64.6%를 차지했다. 2001년 배출량 123.8g I-TEQ과 비교하면 37% 줄어든 수치이다.

이러한 감소 추세는 같은 기간 일본의 다이옥신 저감율(92%)과 비슷한 수준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그동안 배출허용기준의 설정 및 강화, 측정망 운영을 통해 다이옥신 농도의 감시와 배출시설에 대한 측정 점검을 강화했다”며 “영세업체의 시설 개선 유도 등 다양한 저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결과가 효과를 보았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다이옥신 배출량 관리 및 저감을 위해 2001년 국내 실정에 맞는 다이옥신 배출원 분류체계와 배출량 산정기법을 개발한 바 있다.

이후 2005년부터 2년마다 비소각시설(철강, 비철금속, 에너지 등 산업시설) 및 소각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실측사업을 통해 다이옥신 국가배출량(목록)을 공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