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하수 6.1% 수질기준 미달

4천847개 중 296개 일반세균·질산성질소 등 초과 검출
환경부, 전용측정망 설치 확대·모니터링 과학화 추진


▲ 환경부는 지난해 상·하반기에 걸쳐 전국 4천847개 지하수를 대상으로 20개 항목의 수질 측정을 한 결과에 따르면 6.1%에 해당하는 296개 지점이 기준을 초과, 수질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도 전국 지하수 수질 측정결과

전국 지하수의 6.1%가 수질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009년 상·하반기에 걸쳐 전국 4천847개 지하수 시료를 대상으로 수질을 측정한 결과 6.1%에 해당하는 296개 시료가 수질기준을 초과했다고 지난 9월17일 밝혔다.
이는 2008년 수질기준 초과율 6.9%보다는 0.8%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최근 5년간 평균 수질기준 초과율인 5.9%와 비슷한 수준이다. 초과의 주요인은 일반세균, 질산성질소 등이며, 환경부는 전용측정망 설치 확대로 모니터링을 과학화하고, 지하수 수질관리 선진화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염우려지역, TCE·PCE 기준초과

정부는 전국 지하수 수질 현황과 수질변화 추세를 정기적으로 파악·관리해 지하수의 수질을 보전하고,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매년 지하수의 수질오염실태를 측정해오고 있다.

▲ [그림 1] 20개 오염물질별 수질기준 초과율

측정항목은 pH, 일반세균, 비소, 수은, 납, 페놀 등  총 20개 항목으로 매년 4∼5월과 9∼10월 두 차례에 걸쳐 측정이 실시된다. 측정대상 지점은 매년 환경부가 고시하고 있으며 2009년에는 총 2천499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했다.

지역 환경청은 공단, 저장탱크주변, 매립지주변, 폐금속광산, 오염우심하천 등 전국의 781곳의 오염우려지역 지하수를 대상으로 측정을 실시했으며, 시·도별 지자체에서는 1천240곳을 측정했다. 국토해양부는 국가관측망을 통해서 478 곳의 수질을 측정했다. 원칙적으로 각 지점당 연 2회 측정을 실시하지만, 일부지점은 현장 상황에 따라 연 1회만 측정해 2009년 전체 시료수는 4천847개였다.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수질을 측정한 결과, 2009년의 수질기준 초과율은 2008년 초과율(6.9%)보다 0.8%p 감소했다. 이는 일반세균, 질산성질소 초과지점의 감소에 따른 것이다.

총 4천847개 중 수질기준을 초과한 296개(6.1%)의 측정망 유형은 오염우려지역이 154개(1천461개 중 10.5%), 일반지역 86개(2천430개 중 3.5%), 국가관측망 56개(956개 중 5.9%)로 나타났다.


▲ [그림 2] 연도별 수질기준 초과율

오염우려지역의 경우, 공단지역 및 도시주거지역에서 TCE, PCE 등의 초과가 많아 다른 지역에 비해 유기용제의 오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CE는 금속공업부품 세정제, 접착제 첨가제, 페인트 제거제, 얼룩제거제, 냉동제, 세정용매, 농약 등에서 발생하며 PCE는 섬유의 드라이 크리닝 및 금속부품의 세정제 등에서 발생하는 유독성 발암물질이다.

농업용수사용지역과 금속광산지역에서는 대장균군, 질산성질소의 초과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 지역의 경우, 대부분 일반세균, 대장균군, 질산성질소 등 일반오염물질이 초과됐다.


상·하반기 중복 초과지역 다수

측정결과를 상·하반기로 나눠 살펴보면 오염우려지역의 경우 상반기는 84개, 하반기는 70개 시료가 수질기준을 초과했으며 이중 33개소는 상·하반기에 중복해서 수질기준을 초과했다.


▲ [그림 3] 상·하반기 중복 초과 현황

일반지역 초과지점은 상반기 45개, 하반기 41개이며 이 중 12개가 중복 초과됐다. 국가관측망의 경우 상반기 27개, 하반기 29개가 수질기준을 초과했으며 이 중 17개는 중복 초과된 곳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반복적인 초과지점에 대해서는 정밀조사, 관정의 시설 개선 및 위생관리 등을 통해 수질이 개선되도록 할 계획이다.

시·도별로 초과율은 울산이 20.4%로 가장 높았고, 충남 8.1%, 경기 7.8%, 경북 4.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과율이 높은 시·도는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의 초과 지점이 많았으며, 대전, 제주는 수질 기준을 초과한 지점이 없었다.

국가관측망의 경우 국토해양부에서 지하수 수위 및 수량조사 등을 위해 수계 유역별 대표지점에 설치·운영 중으로 생활용수 수질기준을 적용할 때 초과율이 5.9%(956개소 중 56개소)로 나타났다.

측정결과에 따르면 음용 지하수가 비음용 지하수보다 수질기준 초과율이 높았고, 용도별로는 공업용수 초과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하수를 용도별로 구분해 초과율을 살펴보면 공업용 7.3%, 생활용 6.0%, 농·어업용 4.4%였으며, 음용과 비음용으로 구분하면 각각 6.9%와 5.8%로 나타났다.

수질기준을 초과한 대부분은 일반오염물질(77%)로 인한 것으로, 음용 지하수에서는 주로 대장균군·일반세균 등이 초과돼 음용 중지·수질개선 등의 처분을 받았다.

한편, 주요 초과 오염물질인 미생물(41.8%)과 TCE·PCE(35.0%)는 주로 오수, 축산폐수 및 섬유·금속 세정제 등이 주오염원으로, 관정의 위생관리 부실이나 지표의 오염물질 및 오염된 천층 지하수가 유입된 것에 따른 것이다.

▲ [그림 4] 지방환경청별 초과율

정부, 지하수 관리 선진화대책 모색

환경부는 전용측정망 설치 확대를 통한 모니터링의 과학화, 지역단위 지하수 수질관리체계 구축, 지하수 오염예방 및 정화·복원기술 개발 등의 녹색산업육성 등 지하수 수질관리 선진화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노후 및 부실한 지하수 수질측정망 시설을 개선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현행 측정망 중 시설상태는 부실하나 대표성이 높은 곳에 위치한 지점을 대상으로 시설개선을 추진해 수질관리 및 측정망으로 지속 활용한다.

또,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측정자료의 확보를 위해 수질전용측정망의 신규 설치를 확대할 예정이다. 그간 수질측정망은 대부분 개인소유 관정을 활용해 관정 위치의 미흡, 관리 소홀 등으로 일관성 및 정확한 자료 획득이 곤란했다. 환경부는 이를 개선하고자 수질전용 측정망의 직접 설치를 확대할 방침이다. 우선은 공공관정을 측정망으로 편입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 수질전용측정망 설치 확대를 지속 추진한다.

이 외에도 지하수·토양 자료의 정보시스템(SGIS)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지하수·토양 측정망, 정기수질검사, 지하수정밀조사, 토양오염실태조사 자료 등을 정보시스템으로 신속하고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특히, 오는 2019년까지 지하수 수질관리 선진화대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전국 지하수 수질실태 및 변화추세 파악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지하수 수질전용측정망 설치 확대를 통한 모니터링을 과학화한다. 또 토양·지하수 모니터링 등 정보시스템 활용을 통한 사전 예방적이고 과학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지역단위 지하수수질관리 프로그램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지희 기자>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